본문 바로가기
부동산정보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 스트레스 DSR' 비교

by 웰빙생활 2024. 11. 3.
반응형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 스트레스 DSR' 비교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 스트레스 DSR' 비교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의 증가로 인해 가계부채가 급증하여 정부에서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에 이어 9월부터 스트레스 DSR을 적용하여 대출 제한을 하고 있습니다. DSR과 스트레스 DSR은 개인의 부채 상환 능력을 평가하는 데 사용하는 지표로, 대출 심사와 상환 가능성을 분석할 때 중요하게 활용됩니다. DSR과 스트레스 DSR에 대해 알아봅니다.

 

DSR(Debt Service Ratio,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DSR은 개인의 총소득 대비 모든 금융 부채에 대한 원리금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하며 총 대출 원리금 상환액을 연 소득으로 나눈 비율입니다.

 

DSR = (모든 금융 부채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 ÷ 연간 소득) × 100

 

현재 적용받는 실제 대출 금리를 기준으로 현재 소득 대비 대출 상환 부담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인 대출 승인 심사 시 적용됩니다.

 

소득 대비 부채 상환 부담을 나타내므로, '총체적 상환능력비율'이라고도 합니다. DSR이 높을수록 대출 상환 부담이 크다고 판단하고 보통 DSR이 40~50%를 넘으면 대출 심사에서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 DSR

스트레스 DSR은 금리 인상, 소득 감소 등 불확실한 상황을 가정해 산출한 DSR이며 금리가 오르거나 소득이 감소해도 여전히 대출을 상환할 수 있는지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스트레스 DSR=(스트레스 금리를 적용한 연간 원리금 상환액 ÷ 연간소득) × 100 

 

스트레스 금리

과거 5년간 최고 예금은행 가계대출 신규취급 가중평균금리 (A)

현재 예금은행 가계대출 신규취급 가중평균금리 (B)

스트레스금리 = (A) - (B)

 

제도 시행에 따른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올 상반기에는 스트레스 금리의 25%, 하반기는 50%만 적용되며, 2025년부터는 100% 적용합니다.

 

스트레스 DSR 적용 시 대출=〔대출원리금(실제금리+스트레스금리)〕÷ 연간 소득

 

스트레스 DSR은 금리 인상 등 미래 리스크를 고려한 스트레스 금리를 적용하여 대출 상환자의 리스크를 더 보수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며, 고위험 대출 심사나 금리 변동 리스크 평가 시 적용됩니다.

 

스트레스 DSR은 차주의 상환능력을 면밀하게 심사하고, 금리변동위험에 과도한 채무부담을 방지하여, 가계 부채 증가를 억제하고 거시 경제의 리스크를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DSR과 스트레스 DSR 비교

구분 DSR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스트레스 DSR
정의 총 소득 대비 모든 대출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 비율 금리 상승 등 스트레스 상황을 가정하여 산출한 DSR
목적 현재 대출 상환 능력 평가 금리 인상 등 미래 리스크를 고려한 보수적 상환 능력 평가
금리 적용 방식 현재 적용받는 실제 대출 금리를 기준으로 계산 스트레스 금리를 적용하여 계산
상환 부담 평가 현재 소득 대비 대출 상환 부담을 직접 평가 금리 인상 시 상환 부담이 어느 정도 증가할지 평가
적용 상황 일반적인 대출 승인 심사 시 고위험 대출 심사나 금리 변동 리스크 평가 시
장점 간단한 현재 상환 능력 평가 가능 금리 상승을 고려한 미래 상환 안정성 평가 가능
단점 미래 금리 인상 리스크 반영 불가 가상의 금리를 적용하므로 대출 심사에서 보수적일 수 있음
사용 목적 가계 대출 총량 조절, 대출 승인 기준 설정 금융기관 리스크 관리, 대출자의 미래 상환 리스크 관리

 

요약

은행대출 시 대출자의 상환능력을 고려하여 대출한도를 설정하기 위해 DSR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은 이미 적용을 하고 있지만 가계부채가 나아지지 않아 좀 더 강력한 스트레스 DSR을 도입하였습니다.

 

DSR은 현재 상환 능력을 평가하는 데 중점을 두고, 스트레스 DSR은 금리 인상 등 미래의 불확실한 상황에 대한 상환 리스크를 보다 보수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활용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