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당뇨교실

한국인을 포함한 동아시아인이 제2형 당뇨병에 취약한 이유

by 웰빙생활 2025. 6. 12.
반응형

 

한국인을 포함한 동아시아인이 제2형 당뇨병에 취약한 이유


한국인을 포함한 동아시아인이 제2형 당뇨병에 취약한 이유

 

 

한국인을 포함한 동아시아인들이 서양인에 비해 제2형 당뇨병에 더 잘 걸리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낮은 BMI(체질량지수)에도 불구하고 높은 발병률을 보이는 특징이 있습니다. 분당서울대병원 임수 교수팀의 연구에 따르면, 한국인을 포함한 동아시아인이 당뇨병에 취약한 주요 원인은 췌장의 크기와 지방 함량에 있다고 원인을 제시했습니다. 한국인을 포함한 동아시아인이 제2형 당뇨병에 취약한 이유에 대해 알아봅니다.

 

한국인이 당뇨병에 취약한 생물학적 원인

분당서울대병원 연구팀은 체격이 유사한 30대 한국인과 서양인 각 43명을 대상으로 췌장 크기, 췌장 내 지방 함량, 인슐린 분비 기능을 최첨단 컴퓨터 단층촬영(CT) 기법으로 정밀 측정했습니다.

 

연구 결과, 한국인의 췌장이 서양인보다 평균 12.3% 더 작고, 췌장 내 지방 함량은 서양인보다 22.8% 더 많았으며, 인슐린 분비 능력은 서양인보다 36.5%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처럼 췌장의 크기가 작고 지방 함량이 높아 혈당 조절에 필요한 인슐린 분비 기능이 떨어지는 것이 한국인이 당뇨병에 취약한 핵심적인 생물학적 원인으로 밝혀졌습니다.

 

 

한국인이 당뇨병에 취약한 추가 요인

한국인이 당뇨병에 취약한 원인으로 췌장의 구조적 특성 외에도 유전적 특성, 체지방 분포 및 대사 특성, 식습관 및 생활환경 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1. 유전적 요인

한국인을 포함한 동아시아인들은 인슐린 분비에 관여하는 유전자 변이를 가지고 있어, 혈당이 높아질 때 췌장에서 인슐린을 충분히 생성하는 능력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체중이 조금만 늘거나 인슐린 저항성이 약간만 발생해도 쉽게 당뇨병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2. 체지방 분포 및 대사 특성

한국인은 내장지방이 쉽게 축적되는 경향이 있어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고, 근육량이 적어 인슐린 감수성이 낮은 특성이 있습니다.

 

서양인과 달리 한국인은 BMI(체질량지수)가 23~24.9의 과체중 단계에서도 당뇨병 발생 위험이 높아지며, 겉으로는 마른 체형이라도 내장지방이 많으면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BMI (체질량지수)

BMI (체질량지수)는 체중과 키를 이용하여 비만도를 측정하는 지수로 BMI를 통해 자신의 체중이 저체중, 정상체중, 과체중, 비만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 가늠할 수 있습니다. 

BMI =체중(kg) ÷ 키(m)²

 

BMI 지수에 따른 분류(한국인)

18.5 미만 : 저체중

18.5 ~ 22.9 : 정상체중

23.0 ~ 24.9 : 과체중 

25.0 이상 : 비만

 

3. 식습관 및 생활환경

흰쌀이나 당지수(GI)가 높은 탄수화물 위주의 식단은 혈당을 빠르게 상승시켜 췌장에 부담을 주어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하고 현대인의 운동 부족과 스트레스 역시 당뇨병 발병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당지수(Glycemic Index, GI)

당지수는 특정 식품을 섭취했을 때 혈당이 얼마나 빠르고 높게 상승하는지를 수치로 나타낸 지표로 당뇨병 관리 및 예방, 체중 조절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지표입니다.

 

GI 수치가 높을수록 섭취 후 혈당이 빠르게 상승하고, 낮을수록 천천히 오릅니다. 낮은 GI 식품을 선택하는 것이 혈당 조절과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됩니다.

 

요약

한국인들이 유전적으로 인슐린 분비가 적은 체질인 데다, 췌장의 크기가 작고 지방 함량이 높은 생물학적 특성이 당뇨병에 취약한 주요 원인으로 밝혀져 한국인을 포함한 동아시아인을 위한 맞춤형 당뇨병 예방 전략과 치료법 개발에 중요한 전환점을 제공하였습니다.

 

여기에 탄수화물 위주의 식단과 부족한 활동량 등의 생활 습관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당뇨병 발병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분석되어 한국인의 당뇨병 예방과 치료를 위한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하였습니다.

 

 

당뇨병의 원인 (전통적 원인 vs 새로 주목 받는 원인)

당뇨병의 원인 (전통적 원인 vs 새로 주목 받는 원인) 최근 세계 당뇨병 총회에서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성인 9명 중 1명(5억 8900만 명)이 현재 당뇨병을 앓고 있으며 이중 약 2억 5200

well-being-lif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