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녀 당뇨 취약성 비교 (남성이 여성보다 제2형 당뇨에 취약한 이유)
남성이 여성보다 제2형 당뇨병에 더 취약하다는 것은 통계적으로도, 그리고 우리 주변을 둘러 보아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남성이 여성보다 제2형 당뇨병에 더 취약한 이유는 생물학적, 호르몬적, 체지방 분포 및 행동적 요인 등 다양한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며, 이런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당뇨병 예방 및 관리에 중요합니다. 남성이 여성보다 제2형 당뇨에 취약한 원인을 알아봅니다.
우리나라 남녀 당뇨 유병률 차이
질병관리청의 2023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따르면, 성인 남성의 당뇨병 유병률은 12.0%, 여성은6.9%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남성이 여성보다 2배 가까이 당뇨병에 취약함을 보여줍니다.
남성이 여성보다 제2형 당뇨병에 더 취약한 이유
1. 체지방 분포 및 지방 조직의 기능적 차이
남성은 주로 복부 내장지방을 축적하는 경향이 있고 여성은 주로 엉덩이와 허벅지 등 피하지방에 지방을 저장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내장지방은 피하지방보다 인슐린 저항성과 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2. 호르몬 영향
나이가 들면서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낮아지면 내장지방이 증가하고 인슐린 저항성이 높아져 당뇨병 위험이 증가하는 반면 여성은 폐경전까지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인슐린 감수성을 유지하고 내장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보호 효과를 가집니다.
3. 인슐린 저항성 차이
남성은 같은 체중일 경우 더 많은 내장지방을 가지고 있어 인슐린 저항성이 상대적으로 높아 혈당을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데 더 많은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4. 행동적 요인과 생활 습관
남성은 여성보다 흡연율이 높고 과도한 음주나 고열량, 고지방 식사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건강 문제에 대해 여성보다 덜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5. 진단 시기와 건강검진율의 차이
남성은 여성보다 젊은 나이와 낮은 BMI(체질량지수)에서도 당뇨병 진단을 받는 경우가 많고 건강검진 수검률이 여성보다 낮아 조기 진단·관리 어려움이 있습니다.
반면 여성은 주로 폐경 이후에 당뇨병 발병 위험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이상 조짐을 조기에 발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BMI(체질량지수)
개인의 체중과 키를 바탕으로 비만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지표로 체중(kg)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값을 말합니다. BMI 18.5 미만은 저체중, 18.5 ~ 22.9는 정상, 23.0 ~ 24.9는과체중, 25.0 이상은 비만으로 봅니다.
남녀 당뇨 취약성 비교
구분 | 남성 | 여성 |
체지방 분포 | 내장지방 중심으로 인슐린 저항성이 높음 | 피하지방 중심 으로 대사 위험 낮음 |
호르몬 영향 | 테스토스테론 감소 시 저항성 증가 | 에스트로겐 효과로 감수성 유지 |
인슐린 저항성 | 인슐린 저항성 높음 | 상대적으로 인슐린 감수성 유지 |
진단 시기 | 젊은 나이, 낮은 BMI에서도 진단 | 폐경 후 발병 위험 증가 |
생활습관 | 음주, 흡연율 높고, 건강검진율 낮음 | 건강 관리에 민감하고 건강검진율 높음 |
염증 반응 | 지방조직 염증 활발 | 상대적으로 낮음 |
유병률(2023) | 12.0% | 6.9% |
요약
남성이 여성보다 제2형 당뇨병에 더 취약한 이유는 단순히 생활습관의 차이뿐 아니라, 복부 내장지방의 축적 경향, 남성 호르몬의 영향, 더 높은 인슐린 저항성 등 복합적인 요인 때문입니다.
반면 여성은 폐경기 전까지는 남성보다 당뇨병 발병위험이 낮지만 폐경기 이후에는 여성호르몬의 영향으로 남성보다 당뇨병 뱔병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인을 포함한 동아시아인이 제2형 당뇨병에 취약한 이유
한국인을 포함한 동아시아인이 제2형 당뇨병에 취약한 이유 한국인을 포함한 동아시아인들이 서양인에 비해 제2형 당뇨병에 더 잘 걸리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낮은 BMI(체질량지수)에도 불구하
well-being-life.tistory.com
'당뇨교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트레스와 당뇨병 (스트레스와 당뇨병은 '양방향 상관관계') (1) | 2025.07.01 |
---|---|
혈당과 당화혈색소(당화혈색소 수치별 예상 평균 혈당) (0) | 2025.06.30 |
인슐린 저항성과 인슐린 저항성 관련 주요 질환 (1) | 2025.06.29 |
인슐린의 역할 (인슐린 저항성 vs 인슐린 민감성 비교) (1) | 2025.06.27 |
운동이 당뇨에 미치는 건강 효과(좋은 운동 · 피해야 하는 운동) (5) | 2025.06.26 |